[EBN 오늘(22일) 이슈 종합] 신도시 사전청약, 2030 패닉바잉 잠재울까, K-바이오 美 나스닥 입성 추진…글로벌 영토 확장 등

  • 송고 2021.04.22 19:13
  • 수정 2021.04.22 19:13
  • EBN 이돈주 기자 (likethat99@ebn.co.kr)
  • url
    복사

■ 신도시 사전청약, 2030 패닉바잉 잠재울까

정부가 오는 7월부터 인천 계양 등 3기 신도시 사전 청약에 돌입한다. 본청약보다 1∼2년 앞당겨 시행하는 사전청약을 통해 수도권 청약 대기수요를 해소하려는 목적이다. 특히 사전청약 물량의 약 85%는 신혼희망타운, 신혼부부 및 생애최초 특별공급으로 공급될 예정이라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주 매수층으로 떠오른 2030세대의 불안심리를 달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네 차례에 걸쳐 총 3만200호에 대한 사전청약을 진행하기로 했다. 오는 7월에는 △인천계양 1100가구 △남양주진접 1600가구 △성남복정 1000가구 △의왕청계 300가구 △위례 400가구 등 4400가구가 사전청약에 나선다. 이후 10월 9100가구, 11월 4000가구, 12월 1만2700가구 등 사전청약을 진행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 K-바이오 美 나스닥 입성 추진…글로벌 영토 확장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미국 나스닥 상장을 통한 글로벌 영토 확장에 나서고 있다. 쿠팡의 성공적인 뉴욕증시 데뷔에 이어 제약바이오업계에서 '넥스트 쿠팡'이 탄생할 수 있을지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의약품 시장 규모는 약 571조원 규모로 전 세계 의약품 시장(1418조원)의 40%를 차지한다. 나스닥 상장은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 진출에 유리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기업 가치가 상승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힘을 실어줄 수 있어 기업들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지다. 현재 국내 10여개 업체가 직·간접적으로 나스닥행을 추진 중이다. 이들 기업은 주로 미국 현지 법인을 상장하거나 미국 바이오업체에 지분을 투자해 상장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재무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상장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 운임 상승에 컨선 실적 단숨에 2배 vs 벌크선사는 10%, 왜?

벌크선사와 컨테이너선사의 올해 이익 증가 규모가 크게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인다. 작년보다 운임이 2배 이상 오른 것은 같지만 벌크선사는 컨테이너선사와 달리 장기운송계약 기간이 10년 안팎으로 운임 상승분을 바로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22일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팬오션의 올해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액 2조8200억원, 영업이익 2655억원이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9%, 17.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해운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413억원으로 작년보다 3.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국내 최대 원양 컨테이너선사인 HMM은 올해 2조8542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9808억원)의 2.9배에 달하는 규모다.


■ 이스타항공 "월말 예비인수자 나오면 7월 재운항"

이스타항공이 이달 말 예비인수자 선정을 마치고 공개입찰 공고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내달 20일 법원에 회생계획안을 제출하고나면 이후 채권단 회의, 운항증명(AOC) 재발급 등을 거쳐 이르면 올해 7월에는 재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예비인수자가 확정되지 않아도 경쟁입찰에 무게를 두고 매각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관건은 채권자와 법원에서 채무 탕감 비율을 어느 수준까지 맞춰주느냐인데, 인수자가 부담해야 할 수천억원의 투입금이 얼마나 줄어들 것인지가 재운항 시기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현재 예비인수자 후보와 접촉 중으로, 이달 말이면 인수 의향에 대한 확답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이스타항공 인수에 관심을 보인 6~7곳 중 최근 2~3곳이 예비인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 모빌리티 플랫폼도 양극화…중소업체 생존기

모빌리티 시장이 활성화되며 다양한 플랫폼들이 나오고 있지만 흥행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이용자들에겐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홍보 부족으로 서비스 출시조차 모르는 이용자가 태반이다. 결국 아는 사람만 타는 플랫폼으로 전락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업체들이 심사숙고해 야심차게 준비한 할인쿠폰 등 신규 이용자들을 위한 대규모 이벤트들도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그 사이 카카오 택시의 독주체제는 더욱 굳건해지는 모양새다. 중소 모빌리티업체들이 이를 뒤엎기 위해선 혜택에 앞서 이용자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