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SK이노, 中정부 견제에도 배터리 '닥공'

  • 송고 2018.05.09 14:01
  • 수정 2018.05.09 14:11
  • 권영석 기자 (yskwon@ebn.co.kr)
  • url
    복사

LG화학, 원재료부터 전구체·양극재까지 인프라 확보

SK이노, SK배터리차이나 홀딩스에 864억원 출자

LG화학 연구원들이 전기차 배터리를 연구 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 연구원들이 전기차 배터리를 연구 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중국 정부의 계속되는 한국산 배터리에 대한 보조금 지급 제외 조치에도 불구하고 현지 전기차배터리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LG화학은 중국에 합작법인을 설립해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코발트의 안정적 수급체계를 확보하는가 하면 SK이노베이션은 최근 현지 배터리 자회사에 출자를 단행했다.

9일 화학 및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목록에서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을 빼는 정책을 이어오고 있다.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은 2016년 12월 말 이후 보조금 명단에서 누락되고 있다. 차량 가격의 절반까지 지급되는 보조금 명단에서 제외되면 현지 판매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는 자국 배터리업계의 기술력이 톱 랭커 제조사들과 대등한 수준까지 올라올 때까지 보호막을 치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로 풀이된다.

이같은 난관에도 불구하고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끊임없는 사전 작업을 통해 결국 중국 시장공략에 성공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최근 이사회에서 중국 배터리 자회사 'SK배터리차이나 홀딩스'에 864억원을 출자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법인명은 '블루 드래곤 에너지'로 변경했다.

출자 목적은 해외사업 수행을 위한 투자다. 이달부터 오는 8월까지 4개월간 분할 출자가 이뤄지게 된다.

SK배터리차이나 홀딩스는 지난해 하반기 중국에 설립한 전기차배터리 사업 관련 신규법인이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출자를 통해 중국에서 본격적인 사업 기회를 모색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2013년 12월에는 중국 베이징에 'BESK테크놀로지'라는 법인을 세워 중국시장 공략을 시작했다.

이와 함께 회사 측은 국내외에서의 사업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연구개발 및 생산시설 확충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2016년부터 배터리 및 소재 사업 신·증설과 배터리 국내외 공장 투자 등을 위해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지난해 기준 3284억원을 투자했으며 향후 총 소요자금은 1조8254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향후 중국 시장의 성장과 변화 가능성을 감안해 사업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LG화학은 중국 화유코발트와 전구체·양극재 합작 생산법인 설립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배터리 핵심 원재료 확보에 사활을 거는 동시에 현지 인프라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은 오는 2020년까지 총 2394억원을 출자한다. 화유코발트와 전구체·양극재 합작 생산법인을 각각 설립하고 운영에도 참여하게 된다.

전구체 합작 생산법인은 중국 저장성 취저우에 세워진다. LG화학은 833억원을 출자해 지분 49%를 확보한다. 양극재 합작 생산법인은 중국 장쑤성 우시에 지어지며 LG화학은 1561억원을 출자해 51%의 지분을 갖게 된다.

전구체 및 양극재 공장의 생산능력은 각각 연간 4만톤 규모로, 2020년부터 본격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4만톤 규모는 고성능 전기차 기준 약 40만대분의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는 분량이다. 향후 수요 증가 시 10만톤까지 늘린다는 계획도 검토 중이다.

특히 LG화학은 이번 계약으로 화유코발트가 코발트 등 원재료에 대한 공급을 보장하기로 했다. 이에 합작법인에서 생산되는 제품도 우선 공급받을 수 있다. 화유코발트(코발트 등 원재료)를 시작으로 합작 생산법인(전구체·양극재)을 거쳐 LG화학(배터리)으로 연결되는 안정적 수급체계를 구축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에 LG화학은 합작법인에서 생산되는 전구체와 양극재를 중국 난징 배터리공장(소형.전기차.ESS용 배터리 생산)과 유럽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에서 사용할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까지 중국은 자국 산업 보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2020년부터는 중국 전기차배터리 보조금이 전면 폐지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인프라 확보는 향후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