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워진 남북경협…부족한 전력 문제는 어떻게?

  • 송고 2018.07.05 15:21
  • 수정 2018.07.05 15:24
  • 최수진 기자 (csj890@ebn.co.kr)
  • url
    복사

경협 긍정적 분위기 형성…북한 전력 규모 한국 대비 7%대

한반도 전력통합 위한 선제적 대응 필요…태양광 발전 주목

[사진=한화큐셀]

[사진=한화큐셀]

남북관계가 급격하게 개선되면서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에너지·건설·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경협이 논의되는 가운데 가장 중요한 전력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커지고 있다.

5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북한의 에너지 정책은 자력갱생을 기본원칙으로 전개돼 왔다.

러시아산 원유를 정제하기 위해 구축된 나진·선봉 지역의 승리정유화학에서 생산된 중유를 사용하는 20만kW의 석유발전소를 제외하고 북한의 전원은 모두 자체 조달 연료원으로 구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북한의 전원은 대부분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석탄과 수력에너지에 의존하고 있으며, 2015년 기준 7.4GW 규모로 한국 대비 7.6%에 불과하다.

전력 부족 뿐만 아니라 낮은 전력 품질도 문제다.

정우진 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 소장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6월 에너지 수급 브리프를 통해 "북한의 전기 주파수는 남한과 같은 60Hz이지만 50Hz 내외에서 변동되고 있고 전압 역시 그 변동률이 20%를 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이런 전력품질에서는 제대로 된 상품생산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2010년 이전 남북경협이 비교적 활발했던 시기에 북한에 진출한 남한 기업들은 북한 당국으로부터 안정된 전력을 약속받았지만 대부분 전력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북한의 전원 자체가 열량이 낮고 계절변화에 불안한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다 북한의 송전망은 전국 단일체계로 설계됐지만 송전망이 낡아 손실률이 높고 원거리 송전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정 소장은 북한의 전력특구화와 한반도 전력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장기적으로 북한에 신규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개성공단 규모와 유사한 업체들이 500개 이상은 전력 수요자로 있어야 한다"며 "국지화된 곳의 전력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전력특구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북중 접경지역은 배전선으로도 전력을 보낼 수 있을 만큼 가까워 북중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투자를 활성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며 "50Hz인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에 전력을 변환없이 공급하면서 한반도 전력통합이 어려워질 수 있는데 한반도 전력통합을 위해 정부의 선제적인 대북 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태양광업계에서도 불안정한 북한의 전력시장에 관심을 갖고 있다. 북한의 전력이 부족하지만 발전소를 건설하는데 시일이 걸리는 만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북한에서도 주택용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등 태양광발전을 통해 전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고효율인 국내 태양광 패널 등의 사용으로 북한 전력문제 해결 및 태양광업계의 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