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바이오, 네이처셀發 후폭풍 우려

  • 송고 2018.07.19 14:39
  • 수정 2018.07.19 15:18
  • 임태균 기자 (ppap12@ebn.co.kr)
  • url
    복사

겨우 이뤄진 정부의 '바이오 부양 정책' 다시 돌아설까 우려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역량 풍부하지만 '사기꾼' 이미지에 발목 잡혀

제약·바이오 업계가 깊은 고민에 빠졌다. 라정찬 네이처셀 대표가 주가조작 혐의로 구속되면서 바이오 제약사의 이미지가 실추된 데다 보건당국마져 이번 네이처셀 사태를 계기로 바이오 신약 심사 기준을 강화하는 등 신약 개발의 문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19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라정찬 네이처셀 대표의 구속 이후 줄기세포치료제 연구활동이 왕성한 일부 제약사를 중심으로 '신뢰도 강화 TF'를 구성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것도 문제지만 정부의 관련 규제가 다시 수면위로 부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지난 18일 서울남부지법은 라정찬 대표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를 진행한 뒤 증거인멸 및 도망의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허위·과장 정보로 시세를 조종한 혐의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이 이유다.

앞서 라정찬 대표는 지난 2013년 6월에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및 횡령, 주가조작 등의 혐의로 구속돼 지난 2015년 10월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은 바 있다.

문제는 이번 변 대표 구속을 계기로 바이오 신약에 대한 보건당국의 심사 기준이 깐깐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라 대표가 구속되기 직전 삼미식품에서 이름을 바꾼 네이처셀을 통해 조인트스템을 개발하고 임상시험을 진행했지만 식약처가 효과 증명 미흡을 이유로 반려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중인 바이어기업 관계자들은 최근 모임을 갖고 라 대표 구속 사태이후 신약 개발 시장의 방향과 대응 등에 관한 포괄적인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세계 제약 시장에서 판매 승인된 줄기세포치료제의 50%가 국내 기업에서 개발됐을 신약일 정도록 제품개발 역량은 막강하다. 하지만 과거 황우석 교수 사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 등이 사회적 논란을 겪은 뒤 '바이오기업=사기꾼' 과거의 이미지가 '네이처셀' 사태로 재연되는 것 아닌가 우려하는 분위기다.

한 바이오회사 관계자는 "줄기세포치료제라는 이야기를 꺼내면 바로 황우석 박사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며 "국내는 풍부한 전공 인력과 기술 노하우를 보유했지만 대외적 평가는 낮아 안타까울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줄기세포치료제 신약의 경우 임상시험 등 연구개발 기간이 통상 10~15년이상 걸리는 등 일반인이나 주식투자자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이같은 오랜 노력은 무시된채 바이어 기업들을 싸잡아 주가조작이나 사기꾼 등 범죄자 취급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하소연했다.

이같은 바이오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보건당국의 신약개발 승인 기준 강화 등이 맞불릴 경우 신약개발 선점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시장에서 지칫 토종바이오기업의 설자리가 좁아질 수 있다는 게 업계 전문가의 중론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1999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임상등록 사이트에 등록된 임상연구 314건중 미국이 155건, 한국 46건, 중국 26건, 스페인 15건, 이스라엘 11건으로 미국이 가장 많은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네이처셀 측은 라정찬 대표의 구속과 관련 "본건 혐의와 관련해 현재까지 확정된 사실은 없다"며 "대표이사 직무대행 체제로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