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경기침체 우려에 방향키 돌리는 미국

  • 송고 2018.12.03 17:33
  • 수정 2018.12.03 17:30
  • 신주식 기자 (winean@ebn.co.kr)
  • url
    복사

트럼프, 중국과 무역전쟁 '휴전' 선언…소비침체 우려 외면 힘들어

미 금리 인상 '속도조절' 전망…강세장 이끈 기술주 실적악화 우려

ⓒ연합뉴스

ⓒ연합뉴스

공격적인 보호무역 행보로 일관했던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휴전을 선언하며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이에 앞서 제롬 파월(Jerome Powell) 미 연준 의장도 현재 기준금리가 중립금리에 근접했다며 향후 추가금리 인상에 유보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장에서는 기술주를 위주로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불거지면서 추가적인 관세부과와 금리인상에 대한 미국의 고민이 불거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지시각으로 지난 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주석과 만나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이 90일간 추가관세 부과를 유예하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홈페이지를 통해 "양국은 추가관세 유예기간 동안 무역협상을 진행하기로 했다"며 "이번 합의는 농업, 공산품, 컴퓨터 등 미국 내 모든 제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사상 가장 큰 거래가 될 수 있다"고 자평했다.

미국과 중국 정상이 추가관세 부과를 한 달 남긴 시점에서 휴전을 선언함으로써 미국 뿐 아니라 국내 증시도 한동안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동안 중국에서 원자재 및 제품을 수입해 미국의 생산공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방침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높여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Section 232)를 근거로 올해 총 세 차례에 걸쳐 연간 2500억달러에 달하는 중국 상품에 대한 추가관세 부과를 결정했으며 내년 1월부터는 관세율이 기존 10%에서 25%로 15% 더 늘어나게 된다.

특히 올해 초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부과가 결정됨에 따라 원가부담 압력에 시달리고 있는 자동차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결국에는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며 경고에 나서고 있다.

잭 홀리스(Jack Hollis) 토요타 부사장은 "관세부과로 미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토요타의 모든 자동차들의 출시가격이 적게는 3000달러에서 많게는 60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포드(Ford)와 GM(General Motors)도 원자재가 상승으로 올해만 각각 10억달러 이상의 생산원가 증가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중국에서 수입되는 거의 모든 제품에 대한 관세부과가 결정되면서 일각에서는 미국 소비자들이 '요람부터 관까지(From Cradles to Coffins)' 사용하는 모든 제품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돼왔다.

양국의 무역전쟁 향방에 대해서는 지켜봐야하지만 최소한 오는 2019년 2월까지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는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미 연준의 향후 기준금리 인상 행보에 대해서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달 28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현재 금리는 역사적 기준에서 여전히 낮고 넓게 중립으로 고려되는 수준의 바로 아래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모두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상적인 수준을 말하는 중립금리를 언급하면서 미 증권시장은 2%대의 상승세를 기록하는 등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다.

올해 세 차례에 걸쳐 금리인상을 단행한 연준은 예고한대로 오는 12월 18~19일 열리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한 차례 더 금리인상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에도 세 차례에 걸쳐 금리인상을 단행하겠다던 연준의 계획은 최근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인해 수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이 기존의 공격적인 행보에서 급선회한 이유로 시장에서는 커지고 있는 경기침체 우려감을 꼽고 있다.

중국 제품의 수입이 늘어나면서 미국인들이 일자리를 잃게 된 것은 사실이나 소비자 입장에서는 더 싼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지출을 줄일 수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일상생활에서 중국산 제품을 배제할 수 없는 미국 소비자들의 환경상 관세부과는 경기침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이 커지고 있는 이유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장기간 강세장을 유지하고 있는 미국 증시도 지속적인 금리인상에 이어 애플 등 기술주들의 실적부진으로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 애플, 넷플릭스 등 IT 기업들이 기존 제조업 기업들을 제치고 시총 상위권을 휩쓸면서 미국 경제를 이끌어왔는데 이들 기술주들이 무너질 경우 미국도 경기침체를 대비하지 않을 수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보호무역정책을 강하게 추진하면서 지지를 받아왔으나 추가관세 부과가 결국에는 소비침체로 이어지는 만큼 속도조절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