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이지 않는 ESS 화재…배터리업계 '냉가슴'

  • 송고 2019.10.04 14:45
  • 수정 2019.10.04 14:48
  • 최수진 기자 (csj890@ebn.co.kr)
  • url
    복사

화재 원인조사 발표 후에도 최근 화재 3건 연이어 발생

LG화학·삼성SDI 국감 출석…"배터리 문제 아니라는데"

LG화학 연구원이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LG화학]

LG화학 연구원이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LG화학]

지난해부터 올해 1분기까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제조사를 떨게 했던 ESS 화재가 지난 6월 정부의 화재 원인 조사 발표로 일단락되는 듯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ESS 화재가 다시 잇달아 발생하면서 배터리업계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4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지난 8월30일 충남 예산, 9월24일 강원 평창, 9월29일 경북 군위 등 한달 새 총 3건의 ESS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 6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의 발표 이후 발생한 화재사고라는 점에서 이목이 집중된다.

조사위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이 화재 원인이라고 보고 제조, 설치, 운영·관리, 소방 기준을 점검 및 강화에 나섰다.

배터리 셀은 안전인증을 통해 생산공정상의 셀 결함발생 등을 예방하고, 배터리 시스템은 안전 확인 품목으로 관리하는 한편, 전기적 충격에 대한 보호장치 설치를 의무화, 설치 용량 제한 등도 실시하고 있다.

이처럼 안전요건이 강화됐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ESS 화재가 발생하면서 활기를 되찾아가던 ESS 시장이 다시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앞서 삼성SDI는 2분기 컨퍼런스콜을 통해 "ESS 시장이 화재 진상 조사 발표 이후 빠르게 정상화되고 있다"며 "매출은 6월부터 회복되고 있으며 8월경부터는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낸 바 있다.

대신증권의 이동헌 연구원은 "ESS 화재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상 기존 프로젝트들에 대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고 이후 ESS 발주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ESS 안전강화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고 신재생에너지의 부정적 이미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SDI 연구원이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SDI]

삼성SDI 연구원이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SDI]

배터리업계에서는 더딘 ESS 시장 회복과 더불어 또 다시 배터리가 ESS 화재 원인으로 지목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ESS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배터리에서 불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 ESS용 배터리가 문제라는 시각이 있었다.

ESS 화재 원인 조사위가 일부 배터리 셀에서 결함이 발견됐지만 배터리 자체 발화로 이어질 수 있는 셀 내부단락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하면서 그제야 배터리 제조사들은 한숨을 돌릴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는 7일 예정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분야 국정감사로 ESS 화재 화살이 다시 배터리업계로 향하게 됐다.

김준호 LG화학 부사장과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이 ESS 화재와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됐기 때문이다.

배터리업계에서는 조사위 결과에서 배터리 문제가 없었음에도, 국감 영향으로 ESS 화재가 배터리 제조사 때문이라는 오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ESS 화재 사고가 발생해 안타깝다"면서도 "해외에도 똑같은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만 화재가 발생하고 있어 의아하다"고 말했다.

이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현물 가격 급락 등 ESS 시장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다시 화재 소식으로 수요 침체가 걱정된다"며 "화재 이전 보다 배터리의 안전조치를 더욱 강화한 상태"라고 부연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