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K-배터리 전략 '인재' 놓치지 말아야

  • 송고 2021.07.05 06:00
  • 수정 2021.07.05 07:31
  • EBN 이혜미 기자 (ashley@ebn.co.kr)
  • url
    복사

ⓒ

정부가 조만간 '2030 이차전지산업 발전전략'을 내놓는다. 글로벌 시장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는 'K-배터리'의 미래 성장을 좌우할 생태계 구축과 육성방안이 담긴다.


지난 1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우리나라의 독보적 1등 기술력 확보 등 '2030년 차세대 이차전지 1등 국가' 위상 확보를 목표로 발전전략을 마련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높였다.


현 시점 ‘K-배터리’는 세계 최정상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올해 4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을 64.1%로 끌어올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p나 늘어난 수치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타고 배터리 산업의 외형성장도 계속되고 있다. 우리기업들은 연초부터 유럽, 미국 등 대대적인 투자 계획을 내놓으며 초격차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까지 나온 투자들만으로도 2020년대 중반까지 세계 어느 국가도 넘볼 수 없는 물량 확보가 가능하다.


덕분에 시장의 관심도 자연히 다음 투자에 쏠리는 분위기다. 조단위 투자가 뿌려질 다음 행선지를 찾는다. 그러나 업계 내부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번 배터리 산업전략의 핵심은 정부차원의 인재 육성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과 업계 관계자는 전문 인력 확보가 가장 중요한 이슈라고 지적한다. 제조분야 투자와 별개로 인재 투자는 개별 기업의 역할에 한계가 있어서다. 인재 양성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시간과 비용 투자가 필요한 구조적인 문제이기 때문.


배터리 산업이 폭발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또 더 큰 성장을 예고하면서 '인재 대란'은 현실의 문제로 닥쳤다. 만성적인 인력난으로 인한 경쟁사간 갈등은 배터리 업계에서는 흔한 일이다. 앞서 LG와 SK 간 벌어진 '세기의 배터리 소송'도 애초에 업계의 고질적인 ‘인력 빼가기'가 발단이 됐다.


국내 리스크는 원만히 마무리됐지만, 수년 전부터 중국업체들이 국내 인력에 거액을 제시하며 자국으로 모셔가고 있다. 또 최근에는 유럽의 신생업체들이 호시탐탐 우리 인력을 노리고 있다. 유럽은 국내 배터리업체들의 최대 고객이지만 한편으로는 한국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산업을 본격적으로 키우고 있다.


지난달 열린 국내 최대 배터리 이벤트인 '인터배터리 2021' 행사에서 만난 국내 배터리 대표들은 모두 입을 모아 인력 확보를 강조했다. 한국전지산업협회장을 맡고 있는 전영현 삼성SDI 사장은 "배터리 산업이 성장하고 있지만 인력은 부족하다"면서 "인력양성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배터리 업계는 이번 산업전략에서 정부의 배터리 분야 인재 양성 및 R&D 예산 지원 방안이 공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첨단 산업에서 경쟁력의 원천은 첫째도, 둘째도 인재다.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이끌 전문인력 육성은 한국이 이차전지의 기술 허브로 도약해 중장기적인 발전을 가져가기 위한 필수 스텝이다. 때문에 정부는 보다 먼 미래를 내다보고 K-배터리 산업을 이끌 핵심 인재양성을 위한 진정성있고 유의미한 투자를 밟아나가야 한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