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銀 시중은행化…나머지 지방은행은 대주주에 발목

  • 송고 2024.02.14 13:51
  • 수정 2024.02.14 13:52
  • EBN 김남희 기자 (nina@ebn.co.kr)
  • url
    복사

DGB금융 주요주주 삼성생명, 지분 처분해 3.35% 보유 ‘지배구조 해결’

BNK금융 롯데그룹(11%) 대주주…JB금융 삼양그룹(14.14%) 대주주

금융권 “시중은행되면 경쟁력 확대…하지만 산업자본 주주 설득 어려워”

금융당국 관리·감독도 부담

[제공=각사, 연합]

[제공=각사, 연합]

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전환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추가적인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시도는 당분간 없을 전망이다.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기준인 지배구조 요건을 부합하는 지방은행이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은산분리부담이 사라지지 않는 한 산업자본이 대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노력은 힘들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1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시중은행 인가를 위해서는 자본금 요건(최소 1000억원)과 지배구조 요건(산업자본 보유 한도 4%·동일인 은행 보유 한도 10%) 두 가지 동시에 만족돼야 한다.


자본금 요건은 6개 지방은행(부산·경남·전북·광주·제주은행) 모두 충족하고 있다. 하지만 지배구조 요건을 갖춘 곳은 대구·제주은행뿐이다. 제주은행은 요건상 시중은행 전환이 가능은 하지만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나머지 부산·경남·전북·광주은행은 지배구조 요건을 갖추지 못해 시중은행 전환이 어렵다.


부산·경남은행을 보유한 BNK금융지주는 롯데그룹(11%)이, 전북·광주은행을 자회사로 둔 JB금융지주는 삼양그룹(14.14%)이 대주주다. 만약 이들 지방은행이 시중은행 전환을 시도할 경우 대주주 의결권을 4% 이내로 줄여야 한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반면 DGB금융지주의 경우 대주주 삼성생명이 지분을 정리하면서 지배구조 요건을 완성했다. 2019년 대구은행 지분은 DGB금융지주가 100%를 보유했고, DGB금융지주의 주요 주주에는 국민연금(8.78%), OK저축은행(8%), 삼성생명(6.95%)이 이름을 올렸었다. 하지만 그해 삼성생명은 DGB금융지주 지분 3.6%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해 현재는 지분율은 3.35%다.


BNK금융 관계자는 “DGB금융은 일찌감치 지배구조 요건을 개편해 시중은행 전환을 준비해왔다”며 “반면 BNK금융은 대주주 롯데와 논의해 지분율을 줄여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대구은행 본점[제공=대구은행]

대구은행 본점[제공=대구은행]

금융권은 대주주 지배구조가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지방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면 전국구 영업이 가능한 데다 조달금리도 낮아질 수 있고 지방은행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경쟁력이 커진다. 사업 경쟁력이 강화되는 만큼 시중은행을 안 할 이유가 없다는 시각에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은행권 메기’ 역할을 주문하면서 시중은행 전환 길을 열어 준 만큼 대구은행도 이를 사업 확대의 기회로 본 것 같다”면서 “더구나 인터넷전문은행의 장점까지 결합해 모바일뱅킹으로서의 도약도 염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지방은행이 대구은행의 변화 바람을 관측하면서도 시중은행으로 전환하지 못하는 데에는 대주주를 설득하지 못하는 무력한 상황을 감안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주는 대표적인 배당주인데 대주주들이 쉽게 지분을 정리하기 어려운 데다 주주 간 계약은 은행과 금융당국이 논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대구은행 외에도 제주은행도 지배구조 요건을 충족한다. 하지만 시중은행 전환을 검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 측은 “금산분리 규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금융권에서 앞으로 지방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지방은행들이 지배구조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시중은행으로 전환 작업에 나설 지는 미지수라는 관측이 나온다. 사업적으로 전국구 영업과 자금 조달의 이점이 있지만 금융당국의 까다로운 감독을 만족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방은행이 시중은행 전환을 고려할 때, 사업적 이점 이외에도 사업 영속성 측면에서 금융당국의 관리·감독 부담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