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미래산업포럼' 개최…반도체 시작 8차례 주력산업 진단

  • 송고 2021.03.05 09:00
  • 수정 2021.03.05 09:07
  • EBN 손병문 기자 (moon@ebn.co.kr)
  • url
    복사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규제개혁 등 미래 준비 과제 점검

"정부차원 디지털 전환, 친환경 공정가스, 중대재해처벌법 완화" 건의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상의회관에서 주력산업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미래산업포럼’ 1차 회의(반도체)를 개최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가운데)이 인사말을 하는 모습 ⓒ대한상의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상의회관에서 주력산업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미래산업포럼’ 1차 회의(반도체)를 개최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가운데)이 인사말을 하는 모습 ⓒ대한상의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상의회관에서 주력산업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미래산업포럼’ 1차 회의(반도체)를 개최했다.


‘대한상의 미래산업포럼’은 글로벌 산업이슈인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에 대한 기업의 당면과제를 점검하고 규제개선을 통해 미래경쟁력 확보 방안을 마련하려는 취지다.


이날 포럼은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의 주재로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이창한 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엄재훈 삼성전자 전무, 박용근 SK하이닉스 부사장, 권종혁 DB하이텍 상무, 김동천 실리콘마이터스 부사장이 참석했다.


◆"생산공정 전 과정 디지털 전환 확대 필요"


첫 번째 발표는 ‘반도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딜로이트 컨설팅 조은덕 상무가 마이크를 잡았다.


조 상무는 “디지털 기술은 단순히 산업 각 분야를 지원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엔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며 전체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한다"며 "산업전반의 디지털 성숙도를 분석해 보니 가장 고도화된 기술 제조산업으로 꼽히는 반도체 분야가 1위"라고 말했다.


'디지털 성숙도'란 디지털 기술과 인프라의 발달이 가져올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이를 경영에 적용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원·기업문화·조직구조·업무수행이 조율된 정도를 말한다.


반도체 산업이 디지털 전환의 선두로 평가받는 이유는 ‘빅데이터 축적 및 활용’에 있다. 조 상무는 “반도체 생산 공정이 정밀해지며 장비에 붙는 센서만 수백개에 달하고 취합되는 데이터가 한해 30페타바이트에 달한다”며 “이는 고화질 영화 520만편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타 제조업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조 상무는 반도체 분야 디지털 전환 과제에 대해 “생산 공정에서 디지털 전환이 기업성과로 연결되려면 기업 운영과 고객관리에도 빅데이터·AI 등의 디지털 기술이 확산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대...친환경 공정가스 개발 시급"


이어 '반도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탄소중립 과제'에 대해 산업연구원 정은미 본부장이 발표했다.


정 본부장은 반도체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대해 “국내 반도체 산업은 최신 감축설비 투자, 대체 공정가스 개발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며 “산업별 감축잠재역량(2위)과 온실가스배출집약도(3위) 모두 타 산업에 비해 우수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정 본부장은 반도체 산업의 탄소중립 방향에 대해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면서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대와 친환경 공정가스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특히 공정가스 개발은 특정 기업 힘으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와 공정가스 생산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협조체계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확실한 글로벌 경쟁우위 확보 위해 불필요한 법·제도 과감한 개선 주문"


마지막 주제 발표를 맡은 산업기술대학교 장석인 석좌교수는 "코로나 이후 반도체 산업 성장을 위한 새로운 규제 패러다임"을 주문했다.


장 교수는 “반도체 산업의 규제 패러다임은 글로벌 경쟁우위 확보와 혁신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도록 재편돼야 한다“면서 ”반도체 산업 특성상 막대한 부지가 필요한데 공장 신․증설 과정에 자연녹지가 포함되면 확장·이전이 어려우므로 정부의 전략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규모 반도체 생산라인은 유해화학물질의 인·허가 문제가 수시로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규제도 탄력적이고 효율적인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창한 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대한 기대감이 높지만 동시에 글로벌 시장이 급변하는 대변혁기"라며 "국내 반도체 산업이 미래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규제개혁 3대 이슈에 대한 대응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정부차원의 디지털 전환 전략수립’, ‘친환경 공정가스 R&D 추진’, ‘중대재해처벌법 완화’ 등을 건의하며, “반도체 산업의 신속한 성장전략 수립과 되살아나는 시장 선점을 위해서 꼭 해결해야 하는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코로나로 변화의 속도가 한층 빨라진 가운데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이슈가 미래가 아닌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며 “국내 산업 현장에서도 빠른 대응속도를 필요로 하는 만큼 대한상의 미래산업포럼이 우리 기업들의 추진력에 모멘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한상의 미래산업포럼은 이번 1차 반도체를 시작으로 2차 디스플레이·전자정보통신, 3차 석유화학, 4차 철강, 5차 자동차·이차전지, 6차 기계·로봇, 7차 조선해양플랜트 등 업종별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