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측정·보상·협력 기반 기후대응 메커니즘" 제안

  • 송고 2021.05.27 21:00
  • 수정 2021.05.27 15:10
  • EBN 손병문 기자 (moon@ebn.co.kr)
  • url
    복사

‘2021 P4G 서울 정상회의 비즈니스포럼’ 온라인 개최

"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화폐 단위로 정량화"

"인센티브,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국제 통용 크레딧 형태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

"기업들이 환경문제 해결방안이 나올 때까지 손놓고 기다릴 수 없습니다. 엄중한 소명의식을 갖고 환경문제 해결에 나서야 합니다. 이것이 새로운 시대에 기업가 정신이 될 것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7일 ‘ESG·그린기술 시대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를 주제로 개최한 ‘2021 P4G 서울 정상회의 비즈니스포럼’에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강조한 말이다.


기조강연에서 최 회장은 “기업은 오랫동안 이윤극대화에 초점을 맞춰 경영활동을 해 온 결과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했다”며 "이제 기업은 친환경 전환을 위한 기술과 자원을 보유한 주체로서 문제해결에 주도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 “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화폐단위로 정량화해야...기업공시, 회계에 반영”


먼저 최 회장은 ‘기업의 환경 외부효과 측정’을 강조했다. 그는 “외부효과가 측정되지 못하는 상황에선 환경 이슈에 대한 논의를 진척시키기 어렵다”며 “기업이 환경에 미치는 광범위하고 경제적인 영향을 화폐단위로 정량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석탄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가격은 1KW/h에 5센트지만 전기 생산과정에서 지구온난화로 환경이 파괴되고 인류의 건강을 해치는 사회적 비용 8센트는 포함되지 않는다”며 "기업이 경제활동의 사회적 비용을 외면해 온 상황"을 예로 들었다.


최 회장은 “환경 외부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기업이 유발하는 환경문제를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측정 메커니즘의 목표 수준은 측정 결과를 기업의 회계기준과 공시체계에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기업의 환경 문제 해결 노력 및 투자 성과에 비례해 보상”


최 회장은 “측정을 통해 외부효과를 정량화하더라도 이를 내재화하기 위한 유인책이 없으면 기업은 외면하게 될 것”이라며 기업의 행동을 친환경적으로 유인하기 위한 ‘인센티브(Incentivize)’를 두 번째 키워드로 제시했다.


그는 “인센티브 시스템은 기업이 환경 문제를 얼마나 해결했는지 투자 성과에 비례해 사후 보상하는 방식”이라며 “기업이 환경이슈를 투자와 수익 관점에서 바라보게 만드는 기폭제가 돼 혁신 사업 발굴과 기술 개발의 가속, 친환경사업의 선순환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인센티브를 지역에 국한시키지 않고 국제 통용되는 크레딧 형태로 시장화”


끝으로 최 회장은 인센티브 재원 조달 방법으로 ‘전지구적 협력(Collaborate)’를 강조했다. 최 회장은 기업의 환경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역에 국한시키지 않고, 세계 정부-기업-시민사회의 협력을 통해 시장화하는 구상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인센티브 도입을 위한 재원을 국가 간 협력을 통해 디지털 크레딧으로 통용한다면 각 행위자의 환경 보호 성과가 화폐화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여러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글로벌 플랫폼인 P4G가 중요한 역할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조강연에 이어 'ESG 경영패러다임 변화와 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주제로 진행된 첫 세션에서 후벤시오 마에스추(Juvencio Maeztu) 이케아(IKEA) 부회장이 ‘기후안심 실현을 위한 여정’을 발표했다.


마에스추 부회장은 “이케아는 기업 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을 동시에 추구하는 ‘기후안심기업’이 목표"라며 "명확한 목표의식, 포괄적 성과 측정,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추진, 지속가능성과 성장의 딜레마 극복, 적극적인 협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애플(Apple)의 환경․공급망 혁신총괄 사라 챈들러(Sarah Chandler)는 ‘애플의 탄소 중립화 선언 및 협력방안’을 발표했다.


그는 “애플은 2030년까지 전 제조 공급망과 제품주기에서 탄소중립화를 달성하려는 목표를 세웠다”며 "재생에너지 및 재활용 재료를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고 수명이 다한 제품의 재료를 회수해 다시 공급망에 투입함으로써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두 번째 세션 ‘그린 기술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발표자로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나섰다. 그는 ‘탄소중립 시대 수소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했다.


최 회장은 “전 세계가 연간 배출하는 온실가스 양의 대부분은 제조업, 수송, 발전 부문이 차지한다”며 “제조업 부문의 사용에너지를 탄소기반에서 수소기반으로 전환, 수송부문의 내연기관을 연료전지로 대체, 기존 석탄과 가스 중심 화력발전을 수소발전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의 김원경 ESG 총괄부사장은 “미국 중국 유럽 지부에서 재생에너지 100% 사용 약속을 2020년 말에 이미 달성했다”며 “ESG 경영은 이제 누구라도 간과할 수 없는 지상과제로 기업의 의사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국씨티은행의 유명순 행장은 “친환경 노력은 비용이라기보다는 장기적인 투자”라며 “단기적인 비용을 아끼기 위해 친환경 노력을 안 한다면 기업 이미지 비용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빈그룹(Vingroup)의 레 티 투 투이(Le Thi Thu Thuy) 부회장은 “빈퓨처(Vinfuture) 상을 제정해 과학기술 혁신, 발명, 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의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있다”며 “기업은 정부, 소비자, 비정부 기구들과 함께 친환경 대응을 위해 협력하고 목적을 공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