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탄소중립·디지털化 미흡…"공급망 관리·R&D 투자 늘려야"

  • 송고 2021.04.15 07:30
  • 수정 2021.04.15 08:35
  • EBN 손병문 기자 (moon@ebn.co.kr)
  • url
    복사

상의, 석유화학업종 미래대응 수준 평가대상 8개 업종 중 ‘중하위’

업계 "투자세액 공제 확대, 대체원료 투자 지원, 전문인력 양성" 건의

ⓒ금호석유화학

ⓒ금호석유화학

우리나라 핵심 기간산업인 석유화학 업종이 다른 산업에 비해 미래준비가 미흡,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제3차 미래산업포럼’을 열고 석유화학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과 탄소중립 대응력을 점검했다.


포럼에는 안완기 생산성본부 회장,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 박준성 LG화학 전무, 김연섭 롯데케미칼 전무, 최안섭 SK종합화학 실장, 송유종 석유화학협회 상근부회장, 최용호 딜로이트컨설팅 상무,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가 참석했다.


석유화학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탄소 중립’ 분야 모두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회의에서 공개된 순위를 보면 평가 대상 8개 업종 중 디지털 전환은 5위, 탄소중립은 6위에 그쳤다.


석유화학산업에서 ‘촉매기술’이 오랜 기간 핵심경쟁력 역할을 해온 탓에 디지털기술 도입 등 혁신에 소극적이고, 석유를 원료로 하는 산업특성상 짧은 시간에 탄소절감을 달성하는데 제약이 많다는 진단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5일 개최한 ‘제3차 미래산업 포럼_석유화학’에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이 인사말을 하는 모습 ⓒ상의

대한상공회의소가 15일 개최한 ‘제3차 미래산업 포럼_석유화학’에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이 인사말을 하는 모습 ⓒ상의

◆디지털 전환, 생산·유통구조 안정돼 변화 더뎌...'Deep Shift' 필요


최용호 딜로이트컨설팅 상무는 "석유화학산업은 오랜기간 촉매기술 개발이 석유화학 제품의 품질·수율·생산성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였다”며 “촉매기술 외 영역에서는 별다른 혁신의 필요성이 없었던 것이 디지털 성숙도가 부진한 결과로 나타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한국 화학산업은 그간 범용제품 위주로 생산하고 유통채널도 B2B 비중이 높았던 만큼 품질개선과 고객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빅데이터 활용 필요성이 적었다”며 “화학업계 전반에서 디지털 활용이 미흡했던 이유”라고 설명했다.


최 상무는 “글로벌 선도 화학기업들은 디지털 역량을 미래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 중”이라며 “국내 기업들도 기업 상황에 따라 디지털 전환의 방향·속도·범위를 결정해 추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석유화학업종의 디지털 전환 전략으로 △공급망 통합관리 및 자동화 △현장관리의 디지털화 △생산 최적화를 통한 수율 극대화 등 3대 분야에서 7개 과제를 주문했다.


◆ "탄소중립, 산업 특성상 단기 대응 한계...지속적 R&D 투자해야"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은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탄소중립'을 주제로 마이크를 잡았다. 정 본부장은 “석유화학산업은 대표적인 온실가스 배출 산업으로 나프타 원료에서 직접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전체의 64%를 차지하는 만큼 나프타 원료를 대체하는 것이 탄소중립 대응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 본부장은 “온실가스 배출 절감을 위해 나프타 원료를 수소·바이오 등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지만 비용과 기술개발과 같은 문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이라며 “대체원료 개발을 위한 R&D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규제개혁, 신속한 구조개편을 위한 환경규제 조성 필요"


마지막 발표에 나선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는 “화학산업은 친환경 화학제품을 비롯 고부가가치 정밀화학으로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며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환경규제도 발맞춰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장 교수는 산업안전보건법을 예로 들며 “공장안전보고서의 이행상태 평가등급에 따라 안전밸브 검사주기를 정하는데 안전밸브와 관련이 없는 이유로 등급이 하락해도 밸브에 대한 검사주기가 단축되는 경우가 있다”며 “대부분 안전밸브가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 검사를 많이 할수록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작업시간 확보도 어려워 검사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는 문제까지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어 “선진국에서는 정유 및 석유화학 설비의 검사주기를 법으로 규정하지 않고 사업장 자체 절차에 따라 유지보수 주기를 설정한다"며 "안전밸브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검사주기와 기준 합리화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 업계 "투자세액 공제 확대, 대체원료 투자 지원, 화이트바이오산업 인력 양성" 건의


이후 진행된 자유토론에서 주제 발표에 대해 화학업계의 건의가 나왔다.


송유종 석유화학협회 상근부회장은 “화학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에 따라 산업 경쟁력은 물론 기업의 가치가 크게 좌우될 것”이라며 “두 이슈 모두 경험해 보지 않은 분야로 산업현장 적용을 위해 업계 노력과 더불어 법제도 정비와 정부지원이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 부회장은 “석유화학 업계도 디지털 전환 비전을 수립하고 R&D-구매-밸류체인 전반에서 디지털 기술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며 “정부도 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데이터 활용 제약을 줄이는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중립에 대해 “2050년까지 석유화학업계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료·연료는 물론 관련 설비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기술개발 등 재무적 부담이 관건인 만큼 정부도 금융·세제 지원을 획기적으로 늘려야 한다”고 요청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석유화학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은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난이도가 매우 높다”며 “어렵지만 피할 수 없는 과제인 만큼 기업과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해 석유화학산업의 미래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EBN 미래를 보는 경제신문